본문 바로가기
이슈

미 상호관세 25% 발효, 트럼프 관세 정책 영향

by saesae0101 2025. 4. 9.
반응형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이죠. 4월 9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하기로 한 국가별 상호관세가 발효돼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중국, 일본, EU 등 주요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관세 전쟁이 현실화되면서 

세계 경제의 혼란과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죠. ㅠ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물품에는 일단 25% 관세가 붙게 돼 수출 중심 경제 체제로 미국 시장의 비중이 큰

한국은 대미 수출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지금 현재도 코스피, 코스닥이 곤두박질 치고 있는데, 이 혼란이 언제쯤 끝날지 알 수가 없어요.

 

미국의 일방 조치에 대해 대부분의 국가가 즉각적 대응보다는 협상을 시도하고 있고,

트럼프 정부도 맞춤 협상 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하는데, 

사실 서로의 입장 차이가 워낙 커서 협상이 잘 될지 아직은 모른다고 하네요.

 

그러면, 트럼프 관세 정책이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한국 수출 잠재적 위협

관세 인상은 한국 주요 수출 품목에 직격탄을 날리겠죠.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에 세금 부과가 늘어나면, 경쟁력 저하와 시정 점유율 감소라는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가

미국이 자국의 무역 적자 해소를 위해 시행하는 쇄국적 관세 부과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웁니다.

경제가 불확실 하면 사람들은 어떨까요? 기업의 투자 의욕이 감소하고 소비자들은 소비 심리가 위축되겠죠.

또 부과된 세금만큼 물가 상승을 초래해 인플레이션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 속에 관건은 바로 소비자들의 심리인 것 같아요.

소비자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 전략을 세우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전 세계적 경제가 

침체에 빠져들지 않을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