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독서 기록을 하는 것 같아요.
요즘 책읽기를 뜨문뜨문 하고있기도 하고, 재밌는 책 찾기도 어렵고 해서 한 달이 넘게 독서가 지지부진한 상태입니다.
그 와중에 오랜만에 교양 쌓을 요량으로 세계사 책을 읽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세계사는 저에게 절망편이었는데요..?ㅎ
한국사를 좋아했던 저는 흥미 밖인 세계사를 버리다시피 했었죠.
그래서 항상 마음 한켠에 세계사에 대해 야트막한 지식이라고 얻고싶은 욕구가 있었습니다.
그 욕구가 다시 일어서 😅 꽤 오래 전에 구매해 얼마 못 읽고 책장에 꽂아뒀던 세계사 책을 꺼냈습니다.
1. 작가 소개
존 허스트
오스트레일리아의 역사학자이자 사회 평론가였다. 그는 1968년부터 2006년 은퇴할 때까지 라트로브 대학교(La Trobe University)에서 가르쳤으며, 1977년부터 1980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의 대표적인 역사학 학술지인 Historical Studies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도한 Film Australia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박물관 이사회에서도 활동했다. 그는 "역사학자이자 공적 지식인, 그리고 적극적인 시민"으로 평가받았다.
허스트는 오스트레일리아 역사와 사회에 대해 폭넓게 저술했으며, 식민지 시절 뉴사우스웨일스를 다룬 두 권의 저서로 큰 호평을 받았다. 그는 언론에 의견 칼럼을 자주 기고하기도 했다.
-WIKIPEDIA
2. 내용
고대 유럽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이주했고, 기후 변화를 거치며 다양한 문화 형성됨
고대 그리스는 민주주의와 철학, 법체계의 발상지이며, 소국들 연합이 특징
로마는 법, 공학, 인프라로 유럽을 통합하다가 5세기 무너지며 봉건제 등장 기점
중세 유럽
서로마 멸망 후 봉건제가 성립. 영주-봉신-농노 관계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구성
기독교가 사회, 문화, 법률의 중심. 신성 로마 제국 등 국가 권력과 긴밀한 관계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14세기 이탈리아를 거점으로 그리스.로마 고전 재발견, 인문주의 확산
레오나르도, 미켈란젤로 등의 예술 혁신과 코페르니쿠스 등 과학 발전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으로 촉발된 종교개혁은 교회의 균열을 가져왔고, 유럽은 가톨릭과 개신교로 분열하며 종교전쟁 시대 진입
계몽주의 시대
볼테르, 루소, 몽테스키외 등 계몽사상가들이 이성, 자유, 권리 강조
출판, 사상 확산으로 전통 권위, 절대주의 및 종교권력에 대한 의문 증폭
이러한 계몽주의가 미국 혁명, 프랑스 혁명 등 정치혁명의 이념적 토대가 됨
산업혁명과 국민국가 형성
증기기관, 방직 기계 등 기술 혁신으로 농업 중심사회에서 공업도시화, 도시 집중화 발생
노동자의 열악한 생활환경 속에서 노동조합이 등장하며 계급의식 형성
부르주아지 기반의 국민국가 형성
세계대전과 글로벌 갈등
제1차 세계대전 : 민족주의, 동맹 경쟁, 제국주의가 복합 원인, 참호전, 가스전 등 비인도적 전쟁 전개
베르사유 조약이 독일에 몰아준 과도한 배상금은 파시즘 부상, 제2차 세계대전의 씨앗이 됨
히틀러의 팽창주의 및 홀로코스트 참극, 전후 유럽은 서유럽(미국 주도)과 동유럽(소련 주도)로 냉전 분단됨
3. 리뷰
방다한 양의 세계사를 이해하기 쉽게 중요 내용만 뽑아내고 요약해서 알려주는 아주 고마운 책입니다.
추리고 추려서 한 권에 담은 짧은 세계사지만 내용의 깊이만큼은 절대 얕다고 할 수 없어요.
이 책의 핵심 명제인 유럽 문화 형성의 기반, 즉 그리스 로마 문화 + 기독교 + 게르만 전사의 조합을 축으로 해서
유럽이 어떻게 오늘날의 모습으로 변화해 왔는지를 친절하게 잘 알려줍니다.
"아무리 외워도 어차피 잊어버릴 수많은 사건과 인물보다 더 중요하고 본질적인 요소들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이 알고 싶다면,
[세상에서 가장 짧은 세계사] 한 번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나의 독서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기록장]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 / 태수 (0) | 2025.04.17 |
---|---|
[독서 기록장] 블랙 쇼맨과 이름 없는 마을의 살인 / 히가시노 게이고 (0) | 2025.03.10 |
[독서 기록장] 모순 / 양귀자 (3) | 2025.01.30 |
[독서 기록장] 급류 / 정대건 장편소설 줄거리, 후기 (0) | 2025.01.11 |
[독서 기록장]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 넬레 노이하우스 (3) | 2024.12.16 |